AWS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2. AWS S3 AWS S3 S3는 확장성, 가용성 및 보안과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이다. 고객이 S3 이용하여 데이터 레이크, 웹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백업 및 복원, 아카이브,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IoT 디바이스, 빅 데이터 분석과 같은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호할 수 있다. 1. 버킷만들기 버킷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Amazon S3의 기본 컨테이너이다. 몇개의 버킷을 만들고 (폴더링) 필요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S3 검색 후 버킷 만들기 클릭 버킷이름은 url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니크하게 지어주고, 지역은 ap-northeast-2로 설정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을 풀어주고 밑에 확인눌러주자. 버킷 생성 버킷은 기본적으로 네이버나 구글 클라우드랑 비슷하.. [AWS] 1.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IAM)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IAM) IAM는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이다. 내 프로그램(서비스)에 AWS를 연결하려면 IAM을 통해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IAM 사용자 만들기 좌측의 사용자 클릭 후 우측의 사용자 추가 클릭 사용자 이름 적당히 기입, AWS 자격 증명 유형 선택은 액세스 키 – 프로그래밍 방식 액세스 방식 선택 권한설정에선 기존 정책 적접 연결을 선택하여 원하는 서비스 선택 (S3 와 CloudFront, ElasticBeanstalk 사용 예정) 액세스 키 ID(AWS_ACCESS_KEY_ID)와 비밀 액세스 키(AWS_SECRET_ACCESS_KEY)를 잘 보관해두자 [AWS] 0. 사용법 정리 AWS 사용법 정리 지금까지 배운 AWS 내용을 정리해보려 한다. 배운내용을 팀 서비스에 적용하려하니 상당히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다. 자세한 개념은 제외하고 적용하는 법과 주의해야 하는 내용 위주로 정리하겠다. 세부 내용을 정리하기 전에 전체적인 로드맵을 잡고 가자. 우리는 로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github repository에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하고 github actions를 통해 CD(Continuous Delivery,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한다. github에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두가지 repository를 만든다. frontend는 S3 CloudFront를 연동하고 Github Actions를 이용해여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 [Sparta] 17-1. AWS RDS 2021-10-08 To-Do 7시 기상 아침식사 오전운동 벌써 한주가 지나갔다... 시간 참 빠르다 ...ㅠ Today I Learned 1. AWS RDS 1. RDS란? 지금은 바야흐로 클라우드 시대이다. 글로벌 IT기업들도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에 자신들의 서버를 옮기고 있다. 클라우드 시대 이전의 DB는 어땠을까? DB의 역할은 이전이나 이후나 매우 중요했다. 사용자 정보, 구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이터베이스가 어플리케이션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2tier(Monolithic)로 구성하는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아키텍처의 변화로 인해 클라우드 시대가 오면서, Monolithic에서 MSA로의 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또한 가벼워지게.. [Sparta] 16. ElasticBeanstalk 2021-10-07 To-Do 7시 기상 아침식사 오전운동 요즘들어 매일 새벽까지 코딩하다 늦게일어나는 일이 잦아진다... 운동은 언제가 ㅠㅠㅠ Today I Learned 1. ElasticBeanstalk 1. ElasticBeanstalk란? ELB + Auto Scaling + EC2 한번에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에요.이전 실습에서 보았듯이 따로 관리 하면 설정 값도 많고 무척 까다로워요. 그래서 AWS 에서는 통합해서 관리할수 있는 서비스인 ElasticBeanstalk를 제공하고 있어요. 구글의 앱엔진이라는 서비스와 비슷하게 환경에는 신경쓸 필요없이 간단한 옵션만 조절하고, 어플리케이션만 배포하면 되는 형태입니다. ElasticBeanstalk라는 이름이 너무 길어서 보통 EB라고 불러요. A.. [Sparta] 15-4. EC2 & ELB Today I Learned 4. 백엔드 구성해보기 - EC2 + ELB 1. ELB Elastic Load Balancing(ELB)은 둘 이상의 가용 영역에서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 IP 주소 등 여러 대상에 걸쳐 수신되는 트래픽을 자동으로 분산합니다. 등록된 대상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상태가 양호한 대상으로만 트래픽을 라우팅합니다. ELB는 여러대의 EC2를 묶어서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현업에서는 EC2한대만으로 서버를 구성하지 않고 여러대로 구성을 하는데 이때 트래픽(Load)를 분산(Balancing)해주는 역할을 한다. 클라우드를 사용하지 않을때도 LB(로드발란서)를 구입해서 사용했다고 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AWS가 제공하는 ELB서비스를 이용한다. 내가 만든 서비스에 트래픽.. [Sparta] 15-3. EC2 백엔드 Today I Learned 3. 백엔드 구성해보기 1. EC2 EC2는 AWS의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에요. 하나의 서버 컴퓨터라고 보시면 되고, 서버 컴퓨터를 하나 빌려서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난번에도 다뤄보았던 EC2이다. 조금 더 자세히 공부해보자.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아마존은 이런 네이밍을 좋아하나 보다. E가 하나 C가 두개라 EC2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서버를 구축할 때 하드웨어에 선투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빠르게 개발 후 배포할 수 있고, 유동적으로 서버의 수와 비용을 조절 할 수 있다. EC2를 사용하여 본인 서비스의 트래픽에 따라 원하는 수의 가상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및.. [Sparta] 15-2. 네트워크 Today I Learned 2. 네트워크 AWS강의에 들어오면서 상당히 헷갈리고, 강의와 다른 부분들도 있고해서 강의에 대부분을 꼼꼼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래야 나중에 헷갈리면 내 언어로 정리된 글을 찾아 볼 수 있으니까... 근데 이 네트워크 부분은 너무 어렵다. 상당한 선행 지식을 요구하는데, 다행이 이러한 지식을이 모두 선습득되어야 서버 개발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니, "이런것이 있다", "나중에 필요해지면 찾아보자" 정도로 알아두자... 내 능력으로 불가능한 정리를 잘 해놓은 블로그.. 1. VPC 클라우드를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지식의 중요성이 예전보다는 중요하지 않게되었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부분은 알아야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Amazon Virtual .. 이전 1 2 3 다음